“誓死捍衛尊嚴,直至海枯石爛”
2013年香港碼頭工人罷工
2013年3月,超過500名碼頭工人發起了一場持續40天的罷工。他們抗議工資停滯不前(事實上工資已連續17年下降),並要求將工資恢復到1997年的水平。工人們也抗議缺乏用餐時間。有些工人,例如長時間高空作業的起重機操作員,甚至被迫在駕駛室內進食和方便。
罷工於3月28日開始。工人們首先佔領了通往碼頭的主要交通路線,隨後在碼頭母公司長江和記實業總部外示威。這次罷工得到了社會運動團體、學生和國際工會的廣泛支持,反映了社會運動與工會鬥爭之間的緊密聯繫。
作為回應,碼頭營運商申請法院禁令,禁止工人在碼頭內示威。工人們在碼頭外的路邊搭建了一個抗議營地,後來被稱為「碼頭工人村」。
罷工期間,工會沒有收入,於是成立了罷工基金來募款。在公眾的大力支持下,該基金籌集了近890萬港元(約114萬美元),這是自1997年香港回歸以來,罷工基金收到的最大一筆捐款。
碼頭工人的罷工體現了社會運動工聯主義的精神。由於資源和人力有限,碼頭工人工會在罷工前就已經尋求基層青年組織的協助,設立街頭攤位並分發傳單,鼓勵工人加入工會,爭取更好的薪資和工作條件。這次罷工也成功建立了國際團結:來自台灣、日本、韓國、非洲和南美洲的工會紛紛發出聲援,荷蘭、美國和澳洲的碼頭工人工會甚至派代表前往香港,親臨「碼頭工人村」表達聲援。
經過多輪談判,工會成員投票接受公司提出的9.8%的加薪方案,結束了罷工。儘管這未能達到工會最初的要求,但第二年,公司再次將薪資提高了10%以上。最終,工人的工資達到了最初要求的水平,工作場所的衛生和職業安全措施也得到了逐步改善。
“바다 깊은 곳까지라도, 끝까지 존엄을 수호하라”
2013년 홍콩 항만 노동자 파업
2013년 3월, 500명이 넘는 항만 노동자가 40일간 파업을 벌였습니다. 이들은 17년 동안 하락한 임금 정체에 항의하며 1997년 수준의 임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노동자들은 또한 식사 시간 부족에도 반대했습니다. 높은 곳에서 장시간 작업하는 크레인 기사처럼 일부 노동자들은 심지어 객실 안에서 식사를 하고 용변을 봐야 했습니다.
파업은 3월 28일에 시작되었습니다. 노동자들은 먼저 터미널로 가는 주요 교통로를 점거했고, 이후 터미널 모회사인 CK 허치슨 홀딩스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 파업은 사회 운동 단체, 학생, 그리고 국제 노조의 폭넓은 지지를 받았으며, 이는 사회 운동과 노동조합 투쟁 사이의 강력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에 대응하여 터미널 운영사는 부두 내부에서 노동자들이 시위를 벌이는 것을 막기 위해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했습니다. 노동자들은 터미널 밖 도로변에 시위 캠프를 설치하여 대응했고, 이 캠프는 “부두 노동자 마을”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파업 기간 동안 수입이 없었던 노조는 파업 기금을 조성하여 기부금을 모았습니다. 강력한 대중의 지지 덕분에 기금은 약 890만 홍콩달러(미화 약 114만 달러)를 모았는데, 이는 1997년 항만 이양 이후 파업 기금에 기부된 최대 금액이었습니다.
항만 노동자 파업은 사회 운동 노조주의의 정신을 구현했습니다. 자원과 인력이 부족한 항만 노동자 노조는 파업 준비 기간 동안 이미 풀뿌리 청년 단체의 도움을 요청하여 거리 노조를 운영하고 전단을 배포하여 노동자들이 노조에 가입하고 더 나은 임금과 근로 조건을 위해 투쟁하도록 독려했습니다. 파업은 국제적 연대를 구축하는 데에도 성공했습니다. 대만, 일본, 한국, 아프리카, 남미 지역 노조들이 지지 메시지를 보냈고, 네덜란드, 미국, 호주의 항만 노동자 노조는 홍콩에 대표를 파견하여 “항만 노동자 마을”을 직접 방문하여 연대를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여러 차례의 협상 끝에 노조원들은 회사가 제시한 9.8% 임금 인상을 수용하기로 투표하여 파업을 종식시켰습니다. 이는 노조의 당초 요구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이듬해 회사는 다시 10% 이상 임금을 인상했습니다. 그 결과, 노동자들의 임금은 당초 요구 수준에 도달했고, 작업장 위생 및 산업 안전 조치도 점진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