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世紀末
韓國:朝鮮王朝後期僱傭勞動者的出現是由於商業化、土地剝奪和採礦/手工業的發展,導致農民成為日工和季節工。
1897
日本:日本首個工會的成立:在高野房太郎(與美國勞工運動有聯繫)和片山千的領導下,日本首個全國性工會運動拉開序幕。隨後,金屬工會等工會相繼成立。
1900
日本:《治安維持警察法》:該法嚴格限制和禁止工人組織工會和罷工,導致工會在一段時間內遭受嚴厲鎮壓。
1911
日本:工廠法頒布:日本第一部勞動保護法,對每日工作時間作出限制,並設立最低就業年齡標準,特別是針對未成年人和婦女。
1910年代
韓國:殖民土地調查:日本的殖民土地調查剝奪了許多佃農的土地,迫使他們進入城市成為礦工、鐵路工人和工廠工人,加速了工人階級的成長。
日本大正民主:大正民主時代(1912-1926)民主理想與運動的興起,促成了許多工會的成立,並加強了爭取工人權利的力度。一些活動人士也持反帝國主義立場,呼籲聲援和支持日本殖民統治下的工人。
1922
韓國:首爾鞋匠罷工:鞋匠發起罷工,抗議低薪、種族歧視和惡劣的工作條件,這是首次大規模城市工匠罷工之一。
中國:上海日資棉紡廠罷工:整個20世紀20年代,上海紡織工人組織起來。 1926年,上海日資內外棉紡廠(NWK)的工人發起罷工,抗議被控縱火的工人被解僱。
中國和香港:海員工會罷工:在航運公司拒絕提高工資後,香港和廣州的中國海員工會以海員工會為首,舉行罷工,動員了超過 30,000 名工人,要求提高工資。
1923
日本:關東大地震:地震過後一片混亂,軍方在東京東部逮捕並殺害了10名正在進行救災工作的工會活動人士。平澤曾參與一些影響廣泛的運動,這些運動後來成為勞動信用社和消費者合作社的起源。軍方以戒嚴狀態為由,沒有被起訴。
韓國:襪子廠女工罷工:年輕女工抗議長時間工作、低薪和惡劣的工作條件,象徵早期女性主導的勞工鬥爭。
1925
日本:《和平維持法》:禁止旨在改變天皇制度或廢除私有財產的組織和活動。該法嚴厲壓制異見言論和意識形態。許多勞工和反戰活動人士因此被監禁。
中國與香港:粵港罷工:一場大規模罷工在香港爆發,起因是上海大規模反帝國主義示威期間英國殖民警察向中國抗議者開槍。
1927
台灣:全島總罷工:1927年5月1日,台灣工人發動全島總罷工,這是日本殖民統治下台灣工人首次發動此類行動。這場勞工運動興起於1920年代台灣更廣泛的反殖民鬥爭之中。
1929
韓國:元山總罷工:超過 10,000 名各行各業的工人加入了元山(朝鮮半島東北部城市,當時最大的港口)的港口工人罷工,這是殖民時代規模最大、持續時間最長的總罷工,也是韓國勞工運動的轉折點。
1930
日本:鎮壓與意識形態轉變:隨著軍國主義的推進,對思想和言論的壓制愈演愈烈,許多活動人士被迫放棄信仰。許多勞工和反戰活動人士因此被監禁。
1940
日本:大日本愛國產業協會成立:所有工會合併為一個國家主導的實體,有效地結束了自治勞工運動。
1945
日本:頒布《工會法》:作為駐日美軍(通常稱為 GHQ(總部))最初的民主化政策的一部分,《工會法》保護了工會並使工人能夠與雇主進行談判。
韓國:北韓勞動組合全國委員會:解放後,工會迅速發展,並於1946年領導了工廠接管,並組織了反對美軍統治的全國性罷工。 1946年初,該委員會約有2,000個附屬組織,約有70萬至80萬名會員。
台灣:勞工組織復興:日本結束長達五十年的殖民統治,國民黨政府接管台灣。昔日的勞工活動家重新組織工會,各行各業再次掀起罷工浪潮。工人們不只要求提高工資,還要求職場民主。
1946
日本:五一勞動節的復興:戰爭期間被禁止的五一勞動節,時隔11年後恢復。
1947
日本:2.1 總罷工:公部門工會計畫發動大規模罷工,全國各地工會也參與其中,要求改善工作條件,如未滿足,政府將被迫辭職。罷工被日本總司令部下令叫停。
日本:《勞動基準法》已頒布:規定了工作條件的最低標準,包括工作時間、假期和工資。強制規定將受到刑事處罰。
台灣:二二八事件:腐敗和歧視引發的普遍不滿最終導致了二二八事件。國民黨從大陸派遣軍隊暴力鎮壓抗議活動,造成至少一萬人死亡。儘管遭受了屠殺,許多工人和知識分子還是加入了地下共產主義網絡。
1949
日本:紅色清洗:隨著亞洲共產主義勢力的增強,日本總司令部出台了新的反共政策,許多共產黨員和支持者被從工作場所清除出去,削弱了社會主義和激進的勞工運動。
中國:中華人民共和國的成立:共產黨戰勝國民黨和中華人民共和國的成立,使工人有勇氣在工作場所提出更宏偉的要求。
台灣:戒嚴與鎮壓勞工活動人士:國民黨宣布戒嚴,開啟了長達38年的獨裁統治。在接下來的幾年裡,900人因「叛亂」而被處決,其中許多是工人和農民。罷工被取締,獨立工會解散。
1950
日本:韓戰:韓戰加劇了紅色清洗,勞工運動中的左翼力量面臨更大的壓制。
1951
中國:工廠民主管理:共產黨發起民主改革運動,建立工人參與工廠管理的製度,抵制濫用的管理行為。
1952
日本:「總工會的政策轉變(「從雞到鴨」):全國性勞工聯合會總工會最初在GHQ的支持下採取了親美立場,但在高野稔出任幹事長後,其路線發生了轉變。總工會採納了「四項和平原則」——包括反對重新武裝和支持全面和平條約——並開始發展更具戰鬥性的勞工運動。
中國:五反運動:共產黨發起的這場運動出乎意料地為一些工人提供了一個管道,讓他們可以對黨的階級妥協政策提出尖銳的批評。
1953
中國:工業國有化:中國工業中的私人企業幾乎全部被社會化或國有化,從此建立了社會主義公有製制度。
1955
日本:春鬥(春季勞工攻勢):產業工會協調一致,要求提高工資,大大促進了日本經濟高成長時期的薪資上漲。這項運動常被譽為日本勞工運動最偉大的發明,如今已成為一項標準的勞動實踐。
1957
中國:罷工浪潮——受到 1956 年匈牙利起義和毛澤東在百花齊放運動期間號召群眾批判黨的干部的不當行為的鼓舞,一股激進的罷工浪潮席捲了中國。
1958
中國:大躍進:對中國工人來說,這場運動帶來了勞動強度的急劇增加、工業勞動力規模的極大擴張、以犧牲消費為代價的極高的積累率,以及透過城市人民公社實現的生殖保健工作的快速社會化。
1959
日本:經過多年的組織,全國頒布了最低工資法。
1960
日本:三池礦場鬥爭:工人從 20 世紀 50 年代開始抗議,在巨大壓力下爭取更好的工作條件,其中包括 1960 年史無前例的 312 天停工。這場鬥爭被稱為“總資本對總勞動力”,被稱為日本歷史上最大的勞工鬥爭。
1961
中國:大躍進:災難性的大躍進之後,黨和國家領導層實施了一項經濟緊縮計畫。工資和福利被削減,福利設施被關閉,工廠規模急劇縮小,數百萬工人被遣返回農村。
1964
中國:第三線:共產黨發起了第三線運動,將數百萬工人遷移到中國內陸山區建設新的工業設施,以應對來自美國和蘇聯的地緣政治威脅。
1965
亞裔美國人:《移民與國籍法》:由於民權運動的推動,美國廢除了過去幾代以來排斥亞洲大規模移民的種族主義移民政策。亞太裔美國人群體的成長是移民法改革的直接結果。
1966
中國:文革期間的罷工浪潮:文革爆發後,工人們要求獲得組織自主造反活動的權利。毛澤東及其領導階層於11月承認了工人的造反權利。一股全國性的勞工造反浪潮迅速爆發。
台灣:第一個出口加工區:世界上第一個出口加工區在高雄開業,主要依靠年輕女工。
日本:總工會的反戰活動:總工會領導了戰後十年的反戰運動。 1966年,該工會發起了“10.21罷工”,這是一場抗議越南戰爭的勞工行動。
1967
香港:1967年罷工與暴動:1967年,包括香港人造花廠罷工在內的三場工人罷工,引發了反對英國殖民政府的示威和暴動。許多抗議者受到文化大革命的鼓舞,並得到了親共的港九工會聯合會的支持。這場暴動不僅損害了香港左翼運動的聲譽,也成為社會改革的催化劑。
1968
日本:出版《啊,野麥峠》。這部小說描繪了明治時代絲綢工廠女工的艱苦工作條件。它提高了人們對歷史和現實中女性勞動問題的認識,後來被改編成一部廣受歡迎的電影。
1970
日本:第一次工人自治運動:由於結構性衰退導致破產企業增多,工會開始自行重建破產企業。
韓國:22歲的韓國縫紉工人兼活動家全泰一(Jeon Tae- il )自焚身亡,以引起人們對該國惡劣勞動條件的關注。他的死引發了公眾的強烈抗議,並促使工人組成工會。今天,您可以參觀首爾的全泰一紀念館。
1971
日本:國鐵「生產力運動」:日本國鐵以提高生產力為名,騷擾工會活動,加劇勞資矛盾。
1972
韓國:元豐紡織鬥爭:九老工業園區的年輕女工為爭取更短的工作時間和更好的工作條件而鬥爭,引發了民主工會主義在數十年壓制之後的復興。
1973
香港:教師工會:1970年,經過一系列抗議和罷工,香港73名文憑級教師爭取到了更高的起薪和更好的薪資待遇。 1993年,香港專業教師工會(HKPTU)成立。
1975
日本:為爭取罷工權而罷工:國家鐵路工會等公部門工會連續八天舉行大規模罷工,要求合法恢復被禁止的罷工權。
1977
中國:文化大革命後情況好轉:在工人薪資幾乎凍結了十多年後,共產黨大幅提高了薪資。然而,工人們要求解決更多民生問題。
1978
台灣:零星的勞工組織(續):儘管受到鎮壓,礦工和工廠工人仍舉行了零星的罷工。 1978年,台灣的《中國潮流》雜誌聚焦在勞工議題,小說家楊清初也發表了關於女工的小說。
1979
韓國:H貿易工人鬥爭:女工佔領反對黨總部,抗議工廠關閉;警方鎮壓導致一名工人死亡,引發釜山-馬山起義,並導致朴槿惠政權垮台。
1980
韓國:「首爾之春」勞工鬥爭:軍事政變後,為爭取加薪和民主工會而發起的罷工浪潮最終以暴力鎮壓告終,這既顯示了勞工激進主義的潛力,也顯示了其所遭受的壓制。
中國:毛澤東時代的罷工浪潮:一波勞工騷亂席捲中國,受到活躍的基層政治討論的影響,重新思考社會主義和民主,並受到波蘭團結工會運動的啟發。
1981
中國:毛澤東時代的勞動改革:共產黨頒布官方政策,加強車間民主制度。
1982
亞裔美國人:紐約唐人街移民服裝工人:15,000名來自中國南方、在紐約唐人街各服裝廠工作的中國移民工人在緊張的合約談判中舉行了大規模罷工和示威活動,成為亞裔美國勞工運動歷史上的里程碑事件。
亞裔美國人:果仁陳(Vincent Chin)之死:華裔美國人果仁陳(Vincent Chin)因汽車業大規模裁員,被兩名白人男性汽車工人以仇恨罪名毆打致死。他臨終前說了一句「這不公平」。
1984
中國:賦予管理階層更多權力:共產黨規定公營企業實行“廠長負責制”,大大擴大了廠長的決策權,而工人的決策權則大大擴大。
台灣:勞動基準法:經過十年的拖延,《勞動基準法》終於通過,這是台灣第一部重要的勞工權益法。台灣勞動法支援組織也成立,為勞工提供法律援助。
1985
日本:爭取平等權利的接力賽:經過三井真理子等人多年的抗爭,最終將接力棒傳遞到勞動省,《平等就業機會法》得以頒布。該法案旨在消除對女性的就業歧視,促進職場性別平等。
日本:頒布《勞動派遣法》:將臨時派遣工作制度化,最初僅限於軟體開發和文秘工作,後來擴展到包括製造業在內的所有行業。這促進了非正規就業的興起。
韓國:大宇汽車罷工:民主工會主義者領導的大規模罷工贏得了工資增長並挑戰了管理層,使多年停滯後的勞工運動重新煥發活力。
韓國:九老聯盟罷工:九個工會參與了聲援罷工,標誌著向政治群眾行動的戰略轉變,並為更廣泛的民主勞工鬥爭鋪平了道路。
1987
韓國:六月民主起義:全國範圍內反對獨裁的抗議活動勢頭強勁,但基本上排除了工作場所的民主要求,而是專注於政治民主化。
台灣:戒嚴結束,工人組織在復興與鎮壓之間徘徊:1987年,戒嚴解除,引發了新的勞工組織運動:工人們發起了自發性罷工,贏得了工資和獎金的增加,並組建了新的工會。 1989年,遠東化纖工會罷工遭到暴力鎮壓,羅美文等工會領導人被解職。在政府的鎮壓下,這場運動逐漸衰退。
韓國:偉大的工人鬥爭:3,000 個工作場所的 120 多萬工人為爭取工資增長、工會民主化和工作場所民主而鬥爭,開創了激進民主工會主義時代。
日本:日本國鐵(JNR)私有化:日本國鐵分割並私有化為JR各公司。國家鐵路工會實際上被解散,導致戰後激進工會主義的崩潰。
1989
中國:天安門工人:儘管今天人們仍將天安門事件視為一場學生運動,但工人們積極參與了這場民主抗議活動,卻常常遭到學生的排斥。北京工人自治聯合會在天安門廣場成立,但遭到鎮壓,領導人被逮捕。
總工會解散,新的全國工會組織成立:要求重組和統一包括總工會(日本工會總聯合會)在內的四大工會組織的運動愈演愈烈,導致激進的總工會解散。日本工會聯合會( Rengō )、全國工會聯合會( Zenrōren )和全國工會理事會( Zenrōkyō )成立。一些產業工會尋求勞工陣線的完全統一,選擇不加入任何全國性組織。
1990
日本:教師反對升國旗、奏國歌:東京都教育委員會對反對強制升國旗、奏國歌的教師實施紀律和鎮壓。教育家根津公子基於良心自由權,在法庭上為此事辯護,最後在最高法院勝訴。
韓國:成立全國工會理事會:工人們組織獨立聯合會,進行爭取國際勞工組織公約和勞動法改革的運動,為建立全國民主勞工聯合會奠定了基礎。
香港:香港職工會聯盟(HKCTU)成立:1980年代,香港白領勞工運動開始興起,教師、社工、醫護人員、公務員等不同職業的從業人員紛紛成立工會。他們與香港基督教工業委員會(CIC)等新興勞工組織一起,於1990年成立了香港職員聯盟(HKCTU)。
1991
日本:泡沫經濟破滅與非正式就業增加:經濟泡沫破裂後,許多公司進行了大規模裁員。兼職和臨時工(非正式)的數量反而急劇增加。
日本:頒布育嬰假法:承認男性和女性工作者享有育嬰假的權利,支持工作與生活的平衡。
1992
中國:鄧小平「南巡」:開啟了私人資本和外國資本快速、不受約束的成長時代,尤其是在沿海城市。
亞裔美國人:亞太裔勞工聯盟 (APALA) 成立:五百名工會成員齊聚一堂,成立了第一個亞裔美國人和太平洋島民 (AAPI) 工人的全國性組織。 APALA 的成立打破了工會運動長期以來排斥 AAPI 工人的傳統。
1993
中國:致利大火:深圳致利玩具廠發生火災,造成 87 人死亡,這是新移工勞動條件極為惡劣的一個例子。
香港:國泰航空空服人員罷工:國泰航空空服人員罷工,也稱為為期17天的罷工,是一場因人員配備水平以及因拒絕在較低級別工作而被解僱的空服人員而引發的重大勞資糾紛。
1995
中國:1949年以來第一部《勞動法》:隨著中國經濟和勞動關係開始市場化,新《勞動法》開始生效,規範了以資本主義合約僱用模式為基礎的勞動關係。
韓國:韓國工會聯合會(KCTU)成立:870個工會擁有410,000名會員,創建了第一個全國性的獨立勞工聯合會,確立了勞工作為主要社會和政治參與者的地位。
中國:國營企業私有化:1995年至2005年間,中國經歷了一場不平衡的私有化進程,最終席捲全國。國營企業被私有化、關閉或重組為資本主義企業。數百萬工人被解僱、提前退休或被剝奪了通常享有的各項福利。
1996
韓國:反對反勞動法的總罷工:這是韓國現代史上最大規模的罷工,有超過一百萬工人參加,反對裁員和勞動力市場靈活化,鞏固了韓國工會聯合會作為國家力量的地位。
京包機株式會社的女性臨時工在訴訟中勝訴,稱臨時工和合約工的工資明顯低於正式員工,構成工資歧視。法院判決同工同酬。
1997
香港職工盟秘書長李卓人提出《僱員代表權、協商權及集體談判權條例草案》,該法案於回歸前不久獲得通過,但回歸後不久即被廢除。
韓國:國際貨幣基金組織與危機與重組:國際貨幣基金組織政策下的嚴厲緊縮和大規模裁員加速了不穩定就業,引發了對重組的抵制浪潮。
1999
台灣:資本外逃與私有化:1990年代,薪資上漲導致製造商遷往海外,導致台灣工廠倒閉。工人們透過靜坐、封鎖鐵路和遊行來抵抗。 1999年,國營台灣機械廠工人抗議私有化,凸顯了國營企業大規模裁員的現象。
中國:礦工抗議私有化:在國營部門私有化和裁員期間,四川省一萬名煤礦工人堵塞鐵路線,以表達對失業救濟金的不滿。
2000
日本:努力解決石棉帶來的健康危害:工會,特別是代表建築工人的工會,如東京職業安全健康中心,帶頭進行與石棉接觸有關的工人賠償索賠活動,取得了顯著成果。
日本:第二次勞動者自治運動:泡沫破滅後復興,該運動強調在自我重建的公司之間建立網絡作為生存策略。
2002
台灣:白領工會組織:全國產業工會聯合會成立,但由於政治因素的收買,其影響力迅速減弱。 2002年,超過10萬名教師為爭取組成工會的權利而舉行遊行,這是台灣規模最大的勞工集會。
2003
中國:強制移民制度被廢除:孫志剛因未持有暫住證而被拘留毆打致死。暫住證是移工在城市居住和工作的必需證。拘留遣送制度隨後被廢除。
韓國:自焚抗議浪潮:多名工會領導人為抗議裁員、債務索賠和鎮壓而死亡,揭露了新自由主義重組的殘酷性。
韓國:KTX列車乘務員的鬥爭:非正式女工反對分包和歧視,引發服務業的長期組織活動。
2005
香港:抗議香港世貿組織會議:包括數千名韓國工人、學生和農民在內的抗議者聚集在香港,舉行示威活動,抗議新自由主義全球化帶來的負面後果。
2007
香港:鋼筋工人罷工:1,000 名鋼筋工人進行了為期 36 天的罷工,爭取自身權益,要求提高工資並減少工作時間。
韓國:衣戀/ NewCore非正式員工罷工:女性服務業工人佔領百貨公司,抗議根據《非正式員工法》進行的大規模解僱,將不穩定性問題帶入全國辯論
。 2008
日本:派遣村(はにどどににすぎる): 受全球經濟衰退的影響,製造業大量臨時工被解僱。工會、律師和民間組織齊心協力,在東京厚生勞動省前的日比谷公園設立了“派遣村”,為這些被困的人們提供支持。他們搭建帳篷,提供餐食,並提供勞動諮詢。
2009
韓國:雙龍汽車工廠佔領罷工:工人佔領平澤工廠 77 天,反對大規模裁員;殘酷的警察鎮壓和隨後的工人自殺象徵著新自由主義的破壞。
中國:工傷普遍:中國工人張海超剖開胸腔,證明自己在工作中患上了塵肺病。
2010
日本:日本航空破產,年底1.6萬名員工失業。這引發了日航工人組織起來反對大規模裁員的鬥爭。儘管未能復職,但他們仍在繼續爭取復職和更好的工作條件。
2010
日本:技能實習生培訓計畫存在的問題:持技能實習生簽證赴日的外國工人遭受非法低工資、強迫長時間工作、包括性侵犯在內的暴力行為以及護照被沒收。工會和工人圍繞著這些問題組織起來,提供多語言支持,協助庭審,並引起公眾對這一問題的關注。
中國:本田工人罷工和富士康工人自殺:廣州本田工人舉行了為期19天的罷工,這是罷工浪潮中的關鍵時刻。深圳富士康工廠有十幾名工人自殺,而珠江三角洲的汽車產業也爆發了罷工浪潮。這些事態發展表明,中國農民工的不滿情緒和鬥爭精神日益高漲。
2011
韓國:HJ造船不裁員「希望巴士」運動:女工金鎮淑在船廠起重機頂靜坐抗議近一年,金鎮淑起重機抗議後引發了一場群眾團結運動,創造了新的社會團結和公眾動員形式。
2011
台灣:教師工會成立:法律改革允許教師組成工會;全國教師工會聯合會成立
。 2012
日本:五年永久僱用規定:《勞動契約法》修訂後,已簽訂五年以上固定期限合約的勞工可以依照自己的意願轉為無固定期限合約。然而,勞動省的指導方針聲稱「無需改變」工作條件,卻招致越來越多的批評。
2013
韓國:「你還好嗎?」運動:在鐵路私有化抗議活動的推動下,一場學生海報運動將青年的不穩定狀態與勞工鬥爭聯繫起來,強調了代際團結。這場海報運動在全國範圍內展開,各種海報張貼在學校、工作場所和其他場所。這引發了全國對鐵路工人罷工的支持,這一現像被認為是自1996年總罷工以來前所未有的。
香港:碼頭工人罷工:香港500名碼頭工人罷工40天,這是自1960年代以來香港最大的罷工,獲得了香港和國際工會前所未有的支持。
2014
中國:裕元罷工:裕元鞋廠43,000名工人發起了中國歷史上規模最大的單一企業罷工,標誌著2010年代初珠江三角洲農民工鬥爭達到頂峰。
過勞死預防措施推進法》頒布。包括「過勞死家庭協會」在內的家庭和活動人士長期以來一直抗議長時間工作和過重工作量導致的死亡,敦促政府認識到長時間工作與過勞死之間的聯繫,並承擔起預防責任。此外,也設立了「預防過勞死月」。
2015
日本:爭取提高最低工資:美國工人呼籲提高速食巨頭麥當勞的工資,凸顯結構性貧窮的影響。全球發起了協調一致的抗議和罷工,美國多個州因此提高了最低工資。在日本,工會組織超越了傳統的聯盟形式,聯合起來要求提高最低工資。
中國:勞工非政府組織受到打壓:2015年至2019年期間,勞工活動人士和協助工人集體組織的非政府組織遭到黨國的嚴厲打壓。
2016
台灣:中華航空空服員罷工:1,700名中華航空空服員發起台灣首次航空罷工。
中國:沃爾瑪員工罷工:多個城市的沃爾瑪員工罷工,抗議“綜合工時制”,這是一種彈性工作制,使工人的工作時間無法預測。
2017
韓國:非正式和公共部門工人的鬥爭:收費員、包裹遞送工人和三星服務工人反對分包和不安全的工作條件,將勞工問題推到了全國的聚光燈下。
韓國:巴黎貝甜麵包師的抗爭:麵包工人揭露非法分包,並贏得政府直接僱用5000多名麵包師的命令,但SPC透過補貼計畫和破壞工會行為逃避合規。這場抗爭揭露了系統性鎮壓、工傷事故以及對破壞工會行為的持續抵抗
。 2018
日本:日本的#MeToo運動:受全球#MeToo運動的啟發,許多媒體和其他行業的女性打破沉默,揭露日本職場性騷擾和性暴力
日本:頒布工作方式改革法:對加班進行法律限制,強制帶薪休假,並將「同工同酬」原則制度化。
中國:物流工人罷工:卡車司機和起重機操作員發起全國性的罷工。
2019
台灣:長榮航空空服員罷工:超過700名中華航空飛行員和2,000名長榮航空空服員舉行大規模罷工,爭取更好的勞動條件。
韓國:收費站收費員的抗爭:數千名收費站工作人員(主要為女性)以「正規化」為名,拒絕被轉包給分包商。在大規模裁員和靜坐抗議之後,最高法院裁定其非法派遣,迫使1500多名工人被直接僱用。
2020
疫情期間的勞動:
日本:疫情嚴重衝擊了餐飲業等產業。許多公司倒閉或裁員,導致失業率上升。
韓國:衛生、照護和分娩工作者反對過度勞累和不安全的工作條件,在韓國推廣「必要工作者」的概念。
香港:醫院管理局員工聯盟(HAEA)發起為期五天的罷工,要求關閉邊境以阻止 COVID-19 傳播,並要求政府就疫情應對展開對話。
2021
韓國:騎士們對抗演算法剝削的抗爭:外帶App騎士們組織抗議,抗議不透明的人工智慧調度和薪資系統,這些系統強制司機以不安全的速度超速行駛並加班。他們的行動揭露了演算法控制是一種新的勞動剝削形式,並爭取到工傷賠償等社會保障的部分內容。
香港:工會鎮壓:香港專業教師協會和香港工會聯盟在政治鎮壓中解散。
日本:女性諮詢活動:為了應對疫情帶來的困境,來自工會、民間社會組織、律師和個人等不同背景的女性策劃並實施了僅限女性的諮詢會議,旨在方便女性輕鬆參與,讓她們能夠毫無顧慮地參與。這項與傳統諮詢不同的舉措已推廣到各個地區。
香港:平台員工罷工:300名Foodpanda外送員發起罷工,抗議不合理的待遇,成功癱瘓了旗下百貨購物平台Pandamart的營運。
2022
韓國:貨運卡車司機為爭取安全票價制度而舉行總罷工:特殊合約司機罷工以捍衛最低貨運費率,挑戰不安全的過度勞動和政府放鬆管制。
韓國:大宇造船分包商罷工:分包船廠工人51天的罷工暴露了總承包商和分包商之間的結構性不平等,成為尹富根政府執政以來的首起重大勞資衝突。
中國:富士康工人集體逃亡:廣州服裝廠和鄭州富士康工廠的工人組織集體逃亡並引發騷亂。這些行動暴露了黨國和資本家在「零新冠」政策日益難以持續的情況下,未能維持良好的工作和生活條件。
2023
韓國:楊會東自焚:一名建築工會領導人為抗議政府鎮壓而自殺,凸顯了尹永權政府時期國家反勞工運動的嚴重性。
汕尾約800名外送工人持續一週的罷工,預示著平台經濟領域勞工組織的新可能性。
日本:女性五一節前夕慶祝活動:經合組織2021年的研究報告顯示,在33個國家中,日本女性(包括所謂的全職家庭主婦)的睡眠時間最少。如果她們無法保證八小時的睡眠、休閒和休息時間,她們會說,這種情況可以追溯到1886年五一節之前的時代。
2024
尹淑烈運動:韓國工會在全國範圍內反對尹淑烈專制鎮壓勞工的抗議活動中發揮了核心作用。透過總罷工、聲援建築工人和分包工人以及與公民團體的聯盟,工會將尹淑烈的鎮壓行為定性為對民主和工人權利的攻擊,從而將職場抗爭轉化為一場旨在推翻政權的廣泛政治運動。
2025
香港:罷工浪潮:中國科技巨頭美團點評的國際子公司Keeta的400名騎手組織並參與了一系列罷工,要求提高工資和加強安全保障。香港浸會大學的清潔員工在校園抗議後成功獲得每月500港元(64.1美元)的補貼。太古飲料(香港)總工會在工廠外組織罷工,抗議一名卡車司機被不公平解僱。
1800년대 후반
한국: 조선 후기에 임금 노동자가 등장한 것은 상업화, 토지 강탈, 광업/수공업의 발전으로 인한 것으로, 농민들은 일용 노동자와 계절 노동자로 전락했다.
1897
일본: 일본 최초의 노동조합 결성: 미국 노동운동과 인연이 있었던 다카노 후사타로 와 가타야마 센을 필두로 일본 최초의 전국적 노동조합 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금속노조 등이 결성되었습니다.
1900
일본: 치안유지경찰법: 이 법은 노동자의 노조 결성과 파업을 엄격히 제한하고 금지했으며, 이로 인해 노동조합에 대한 가혹한 탄압이 한동안 지속되었습니다.
1911
일본: 공장법 공포: 일본 최초의 노동 보호법으로, 일일 근무 시간에 대한 제한을 설정하고 특히 미성년자와 여성의 최저 고용 연령 기준을 확립했습니다.
1910년대
한국: 식민지 토지 조사: 일본의 식민지 토지 조사로 인해 많은 소작농이 토지를 빼앗기고, 그들을 광부, 철도 노동자, 공장 노동자로 도시로 몰아냈으며, 이로 인해 노동 계층의 성장이 가속화되었습니다.
일본 다이쇼 민주주의: 다이쇼 시대(1912~1926) 에 민주주의 이념과 운동이 부상하면서 수많은 노동조합이 결성되었고, 노동자 권익 증진을 위한 노력이 강화되었습니다. 일부 활동가들은 반제국주의적 성향을 띠며, 일제 식민지 지배 하의 노동자들에 대한 연대와 지원을 촉구합니다.
1922
한국: 서울의 제화공 파업: 제화공들은 낮은 임금, 인종 차별, 열악한 노동 조건에 저항하며 파업을 벌였으며, 이는 최초의 대규모 도시 장인 파업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중국: 상하이 일본 면방직 공장 파업: 1920년대 내내 상하이의 섬유 노동자들은 스스로 조직화했습니다. 1926년에는 상하이에 있는 일본인 소유의 나이가이와 타카 이샤(NWK) 공장 노동자들이 방화 혐의로 기소된 노동자들의 해고에 항의하며 파업을 시작했습니다.
중국과 홍콩: 선원 파업: 선원 노조가 주도한 홍콩과 광저우의 중국 선원들은 해운 회사들이 급여 인상을 거부하자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으며, 3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동원되었습니다.
1923
일본: 간토 대지진: 지진 후 혼란 속에서 군부는 도쿄 동부에서 구호 활동을 하던 노동조합 활동가 10명을 체포하고 살해했습니다. 히라사와 는 노동신용조합과 소비자협동조합의 시초가 된 광범위한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군부는 계엄령을 이유로 기소되지 않았습니다.
한국: 양말 공장 여성 노동자들의 파업: 젊은 여성 노동자들이 장시간 노동, 낮은 임금, 열악한 환경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으며, 이는 초기 여성 주도 노동 투쟁을 상징합니다.
1925
일본: 치안유지법: 제국주의 체제를 바꾸거나 사유재산을 폐지하려는 조직과 활동을 금지했습니다. 이 법은 반대 의견과 이념을 가혹하게 탄압했습니다. 그 결과 많은 노동 운동가와 반전 운동가들이 투옥되었습니다.
중국과 홍콩: 광저우-홍콩 파업: 상하이에서 대규모 반제국주의 시위가 벌어지던 중 영국 식민지 경찰이 중국 시위대를 총격한 사건으로 홍콩에서 대규모 총파업이 시작됨
1927
대만: 전국 총파업: 1927년 5월 1일, 대만 노동자들은 전국 총파업을 일으켰는데, 이는 일본 식민 통치 하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조치였습니다. 노동 운동은 1920년대 대만의 광범위한 반식민지 투쟁 속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29
한국: 원산 총파업: 1만 명이 넘는 산업계 노동자가 원산(한반도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당시 가장 큰 항구)의 항만 노동자와 함께 총파업에 참여했습니다. 이는 식민지 시대 최대 규모이자 가장 긴 총파업이었으며 한국 노동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1930
일본: 억압과 이념 변화: 군국주의가 진전됨에 따라 사상과 언론에 대한 탄압이 심화되었고, 많은 활동가들이 자신의 신념을 철회해야 했습니다. 그 결과 많은 노동 운동가와 반전 운동가들이 투옥되었습니다.
1940
일본: 대일본 애국 산업 협회 설립: 모든 노동조합이 국가가 주도하는 단일 기관으로 합병되어 자율적인 노동 운동이 사실상 종식되었습니다.
1945
일본: 노동조합법 제정: 주일미군(일반적으로 GHQ(총사령부))의 초기 민주화 정책의 일환으로 노동조합법은 노동조합을 보호하고 근로자가 고용주와 협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한국: 한국노동조합전국협의회: 해방 후 노조는 급속히 확산되었습니다. 협의회는 공장 점거를 주도하고 1946년에는 미군정에 맞서 전국적인 파업을 조직했습니다. 1946년 초에는 약 2,000개의 산하 조직과 약 70만~80만 명의 조합원이 있었습니다.
대만: 노동 조직 부활: 일본의 50년간의 식민 통치가 종식되고 국민당(KMT) 정부가 대만을 장악했습니다. 과거 노동 운동가들이 노조 조직을 부활시켰고, 산업 전반에서 파업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뿐만 아니라 직장 내 민주주의를 요구했습니다.
1946
일본: 메이데이 부활: 전쟁 중 금지되었던 메이데이가 11년 만에 재개되었습니다.
1947
일본: 2.1 총파업: 전국 공공부문 노조가 참여하여 계획한 대규모 파업으로, 근로 조건 개선과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정부 사퇴를 요구했습니다. 총사령부의 명령으로 파업은 중단되었습니다.
일본: 근로기준법 제정: 근로시간, 휴일, 임금 등 근로 조건에 대한 최저 기준을 정함. 강행규정은 형사 처벌 대상
대만: 228 사건: 부패와 차별에 대한 광범위한 분노가 228 사건으로 이어졌습니다. 국민당은 중국에서 군대를 파견하여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했고, 최소 1만 명이 사망했습니다. 이러한 학살에도 불구하고 많은 노동자와 지식인들은 지하 공산주의 네트워크에 가입했습니다.
1949
일본: 레드 퍼지: 아시아에서 공산주의가 확산되자 GHQ가 새로운 반공 정책을 시행하면서 많은 공산당원과 지지자들이 직장에서 추방되었고, 이로 인해 사회주의와 호전적인 노동 운동이 약화되었습니다.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국민당이 국민당에 승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자 노동자들은 직장에서 더욱 야심찬 요구를 내세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대만: 계엄령과 노동 운동가 탄압: 국민당(KMT)은 계엄령을 선포하여 38년간의 권위주의 통치를 시작했으며, 이후 몇 년 동안 900명이 ‘반란’ 혐의로 처형되었는데, 그중 다수가 노동자와 농민이었습니다. 파업은 불법화되었고, 독립 노조는 해체되었습니다.
1950
일본: 한국전쟁: 한국전쟁으로 인해 적색 숙청이 심화되었고, 노동운동 내부의 좌파 세력은 더욱 심한 탄압에 직면했다.
1951
중국: 공장 민주 관리: 공산당은 노동자들이 공장 관리에 참여하고 부당한 경영 관행에 맞서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도화하기 위해 민주 개혁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1952
일본: 소효의 정책 전환(‘닭에서 오리로’): GHQ의 지원을 받아 처음에는 친미 입장을 취했던 전국 노동조합 총연맹 소효는 다카노 미노루가 사무총장이 된 후 입장을 바꿨습니다. 재무장 반대와 포괄적 평화 조약 지지를 포함한 ‘평화 4원칙’을 채택하고 더욱 공격적인 노동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 5반운동: 공산당은 예상치 못하게 일부 노동자들이 당의 계급 타협 정책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표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1953
중국: 산업 국유화: 중국 산업계의 거의 모든 사기업이 사회화되거나 국유화되어 사회주의 공공 소유 체제가 시작되었습니다.
1955
일본: 춘토 (春土) 운동: 산별 노조들이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결집하여 일본의 고성장기에 임금 인상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일본 노동 운동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으로 칭송받는 이 운동은 이후 표준적인 노동 관행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1957
중국: 파업 물결 – 1956년 헝가리 봉기와 마오쩌둥이 백화운동 당시 대중에게 당 간부의 부정행위를 비판하라고 촉구한 데 힘입어 중국 전역에 호전적인 파업 물결이 일어났습니다.
1958
중국: 대약진 운동: 이 운동으로 인해 중국 노동자들에게 노동 강도가 극적으로 증가하고, 산업 노동 인구가 엄청나게 확대되었으며, 소비를 희생시키면서 엄청나게 높은 축적률이 나타났고, 도시 인민 공동체를 통해 생식 보건 노동이 빠르게 사회화되었습니다.
1959
일본: 수년간의 조직화 끝에 전국적인 최저임금법이 제정되었습니다.
1960
일본: 미이케 광산 투쟁: 노동자들은 1950년대에 투쟁을 시작했고, 1960년에는 전례 없는 312일간의 파업을 포함하여 극심한 압력 속에서 더 나은 조건을 요구하며 싸웠습니다. 총자본 대 총노동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이 투쟁은 일본 역사상 가장 큰 노동 투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61
중국: 대약진 운동: 대약진 운동의 참담한 실패 이후, 당-국가 지도부는 경제 긴축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임금과 복리후생이 삭감되고, 복지 시설이 폐쇄되었으며, 산업 현장의 규모가 크게 축소되어 수백만 명이 농촌으로 강제 이주되었습니다.
1964
중국: 제3전선: 공산당은 제3전선 작전을 개시하여 수백만 명의 노동자를 중국의 산악 내륙으로 이주시켜 새로운 산업 시설을 건설함으로써 미국과 소련 모두의 지정학적 위협에 대처하고자 했습니다.
1965
아시아계 미국인: 이민 및 국적법: 미국은 시민권 운동의 결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아시아계로부터의 대규모 이주를 배제해 온 인종차별적인 이민 정책을 폐지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계 미국인 공동체의 성장은 이민법 개정의 직접적인 결과입니다.
1966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 파업 물결: 문화대혁명 발발 후, 노동자들은 자주적인 반란 활동을 조직할 권리를 요구했습니다. 마오쩌둥과 그의 부하들은 11월 노동자들의 반란권을 인정했습니다. 전국적인 노동 반란의 물결이 빠르게 일어났습니다.
대만: 세계 최초의 수출가공구역: 세계 최초의 수출가공구역이 가오슝에 문을 열었으며, 젊은 여성 근로자들의 비중이 높았습니다.
일본: 소효의 반전 활동: 소효는 전후 10년 동안 반전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1966년에는 베트남 전쟁에 항의하는 노동 운동인 “10.21 파업”을 벌였습니다.
1967
홍콩: 1967년 파업과 폭동: 1967년, 홍콩 인화공장 파업을 포함한 세 차례의 노동 파업이 영국 식민 정부에 반대하는 시위와 폭동을 촉발했습니다. 많은 시위대가 문화대혁명에 영향을 받았고, 친공산주의 성향의 홍콩구룡총연합회(Hong Kong and Kowloon Union)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 폭동은 홍콩 좌파 운동의 신뢰를 떨어뜨렸지만, 사회 개혁의 촉매제가 되었습니다.
1968
노무기 고개” 출간 : 메이지 시대 제사 공장 여성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 환경을 묘사한 소설. 여성 노동 문제에 대한 역사적, 그리고 현재적 인식을 고취시켰으며, 이후 인기 영화로 제작되었습니다.
1970
일본: 제1차 노동자 자주관리 운동: 구조적 불황으로 인한 파산이 늘어나자 노조가 파산한 기업을 스스로 재건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 22세의 봉제 노동자이자 사회운동가였던 전태일 은 한국의 열악한 노동 환경 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분신 자살을 감행했습니다 . 그의 죽음은 대중의 분노 를 불러일으켰고,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현재 서울에 있는 전태일 기념관을 방문 하실 수 있습니다.
1971
일본: 국철의 “생산성 향상 운동”: 일본 국철은 생산성 향상이라는 명목으로 노조 활동을 방해했습니다. 이로 인해 노사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1972
한국: 원풍 섬유 투쟁: 구로 공단 의 젊은 여성 노동자들이 더 짧은 노동시간과 더 나은 조건을 요구하며 투쟁했고, 수십 년간의 탄압 이후 민주적 노동조합주의가 부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73
홍콩: 교사 노조 결성: 1970년, 일련의 시위와 파업 끝에 홍콩의 전문대졸 교사 73명이 초봉 인상과 임금 인상을 받았습니다. 1993년에는 홍콩 전문교사노조(HKPTU)가 설립되었습니다.
1975
일본: 파업권을 위한 파업: 전국철도노조 등 공공부문 노조가 8일 연속으로 대규모 파업을 벌이며, 금지된 파업권의 합법적 회복을 요구했습니다.
1977
중국: 문화대혁명 이후 개선된 노동 환경: 10년 넘게 노동자들의 임금이 거의 동결된 이후, 공산당은 대폭적인 임금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그러나 노동자들은 생계 문제 해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1978
대만: 산발적인 노동 조직화 지속: 탄압에도 불구하고 광부와 공장 노동자들은 산발적으로 파업을 벌였다. 1978년 대만의 잡지 차이나 타이드(China Tide)는 노동 문제를 집중 조명했고, 소설가 양칭추(Yang Qing-Chu)는 여성 공장 노동자들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
1979
한국: 무역 노동자 투쟁: 여성 노동자들이 공장 폐쇄에 항의하며 야당 당사를 점거했다. 경찰의 탄압으로 노동자 한 명이 사망하면서 부산-마산 봉기가 도화선이 되었고, 박정희 정권의 몰락을 촉진했다.
1980
한국: ‘서울의 봄’ 노동 투쟁: 임금 인상과 민주 노조를 요구하는 일련의 파업은 군사 쿠데타 이후 폭력적인 진압으로 끝났으며, 노동 운동의 잠재력과 탄압을 모두 보여주었습니다.
중국: 마오쩌둥 이후의 파업 물결: 사회주의와 민주주의를 재고하자는 활발한 대중 정치 토론과 폴란드 연대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노동 불안의 물결이 중국을 휩쓸었습니다.
1981
중국: 마오쩌둥 이후의 노동 개혁: 공산당은 직장 민주주의를 위한 현장 제도를 강화하기 위한 공식 정책을 공포했습니다.
1982
아시아계 미국인: 뉴욕 차이나타운 이민 의류 노동자: 뉴욕 차이나타운의 의류 공장에서 일하는 중국 남부 출신 이민 노동자 15,000명이 긴장된 계약 협상 속에서 대규모 파업과 시위를 벌였으며, 이는 아시아계 미국인 노동 운동 역사상 획기적인 사건이 되었습니다.
아시아계 미국인: 빈센트 친 사망: 중국계 미국인 빈센트 친은 자동차 업계의 대량 해고 사태를 겨냥한 두 명의 백인 남성 자동차 노동자에게 증오 범죄로 구타당해 사망했습니다. 그의 마지막 말은 “불공평하다”였습니다.
1984
중국: 경영진에게 더 많은 권한 부여: 공산당은 국유기업이 “공장장 책임제”를 채택하도록 규정하여 노동자의 의사결정권에 비해 공장장의 의사결정권을 크게 확대했습니다.
대만: 근로기준법: 10년간의 지연 끝에 대만 최초의 주요 노동권법인 근로기준법이 통과되었습니다. 노동자들의 법적 지원을 위해 대만 노동법 지원기구도 설립되었습니다.
1985
일본: 평등권을 향한 릴레이: 미츠이 마리코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주도한 수년간의 투쟁 끝에 노동부에 배턴 릴레이를 통해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되었습니다. 이 법은 여성에 대한 고용 차별을 철폐하고 직장에서의 양성평등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일본: 근로자 파견법 제정: 소프트웨어 개발 및 비서 업무에 국한되었던 임시 파견 제도가 이후 제조업을 포함한 모든 산업으로 확대되어 비정규직 고용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한국: 대우자동차 파업: 민주노조가 주도한 대규모 파업으로 임금 인상을 쟁취하고 경영진에 도전하면서 수년간의 침체 이후 노동운동에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한국: 구로 노조 파업: 9개 노조가 연대 파업에 참여하여 정치적 대중 행동으로의 전략적 전환을 알리고 보다 광범위한 민주적 노동 투쟁의 길을 열었습니다.
1987
한국: 6월 민주화 운동: 독재에 대한 전국적 항의가 기세를 얻었지만, 직장에서의 민주주의 요구는 대체로 배제되고 대신 정치적 민주화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대만: 계엄령 종식과 노동자 조직화, 부활과 탄압 사이 : 1987년 계엄령이 해제되면서 새로운 노동 조직화가 촉발되었습니다. 노동자들은 불법 파업을 벌이고 임금과 상여금 인상을 쟁취했으며, 새로운 노조를 결성했습니다. 1989년 극동화학섬유노조 파업은 격렬하게 진압되었고, 로메이원과 같은 지도자들은 해임되었습니다. 운동은 국가의 탄압 아래 쇠퇴기에 접어들었습니다.
한국: 위대한 노동자 투쟁: 3,000개 사업장에서 120만 명이 넘는 근로자가 임금 인상, 노조 민주화, 직장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하여 전투적 민주 노동조합주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일본: 일본 국유철도(JNR) 민영화: 국유철도는 JR 계열사로 분할 민영화되었습니다. 국유철도노조는 사실상 해체되었고, 이는 전후의 강경 노조주의의 붕괴로 이어졌습니다.
1989
중국: 천안문 시위 노동자들: 오늘날에는 학생 운동으로 기억되지만, 노동자들은 민주화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종종 학생들에게 소외당했습니다. 천안문 광장에서 베이징 노동자 자치연합회가 결성되었지만, 탄압을 받고 지도자가 체포되었습니다.
총평 (總平) 해체 및 새로운 전국 노동조합 조직 설립: 총평 (總平)을 포함한 4대 노동조합의 재편 및 통합을 요구하는 운동이 격화되면서, 강경한 총평은 해체되었다. 렌고 (緣聯), 젠로렌 (全盧聯), 젠로쿄 (全盧教)가 설립되었다. 노동계의 완전한 통합을 추구하는 일부 산별 노조는 어떤 전국 조직에도 가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1990
일본: 국기 게양 및 국가 제창에 반대하는 교사들: 도쿄도 교육위원회는 국기 게양 및 국가 제창 의무화에 반대하는 교사들을 상대로 징계 및 탄압 조치를 단행했습니다. 교육자 네즈 기미코는 양심의 자유를 이유로 소송을 제기하여 대법원에서 승소했습니다.
한국: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 노동자들은 독립적인 연합을 조직하고 ILO 협약과 노동법 개혁을 위한 캠페인을 벌이며, 국가적 민주노동자 연맹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홍콩: 홍콩노총(HKCTU) 설립: 1980년대 홍콩에서 화이트칼라 노동운동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면서 교사, 사회복지사, 의료진, 공무원 등 다양한 직종의 직원들이 자체 노동조합을 설립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홍콩기독교산업위원회(CIC)와 같은 새로운 노동조합들과 함께 1990년에 홍콩노총을 설립했습니다.
1991
일본: 거품 경제 붕괴 및 비정규직 증가: 거품 경제 붕괴 이후 많은 기업들이 대량 해고를 단행했습니다. 반면, 파트타임 및 임시직(비정규직) 근로자는 급증했습니다.
일본: 육아휴직법 제정: 남녀 근로자 모두 육아휴직을 받을 권리를 인정하여 일과 삶의 균형을 도모합니다.
1992
중국: 덩샤오핑의 ‘남순(南順)’ 정책: 이는 특히 해안 도시에서 민간 및 외국 자본의 신속하고 제한 없는 성장 시대를 열었습니다.
아시아계 미국인: 아시아 태평양계 미국인 노동조합 연합(APALA) 설립: 500명의 노조원이 모여 아시아계 미국인 및 태평양계 미국인(AAPI) 노동자들을 위한 최초의 전국 조직을 결성했습니다. APALA의 결성은 역사적으로 AAPI 노동자들을 배제해 온 노조 운동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었습니다.
1993
중국: 지리 화재: 선전의 지리 장난감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87명이 사망했습니다. 이는 신규 이주 노동자들이 겪는 잔혹하고 비인도적인 노동 환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홍콩: 캐세이퍼시픽 항공 승무원 파업: 캐세이퍼시픽 항공 승무원의 파업은 17일 파업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인력 수준과 하위 직급에서 일하기를 거부하는 승무원을 해고하는 것에 대한 주요 노동 분쟁이었습니다.
1995
중국: 1949년 이후 최초의 노동법: 중국이 경제와 노동 관계를 시장화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노동법이 발효되어 노동 관계가 자본주의적 계약 고용 모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습니다.
한국: 한국민주노총(KCTU) 창립: 41만 명의 조합원을 거느린 870개 노조가 최초의 전국적 독립 노동조합 총연맹을 결성하여 노동이 주요 사회적, 정치적 행위자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국유기업 민영화: 1995년부터 2005년까지 전국적으로 불균등하게 진행된 국유기업 민영화, 폐쇄 또는 자본주의 기업으로의 구조조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수백만 명의 근로자가 해고되거나, 조기 퇴직을 하거나, 관례적으로 보장되었던 사회보장 혜택을 박탈당했습니다.
1996
한국: 노동법 반대 총파업: 100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참여한 현대 한국 역사상 가장 큰 파업으로, 해고와 노동 시장 유연화에 반대하며 KCTU가 국가적 세력으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했습니다.
게이호키( Maruko Keihōki) 의 여성 임시직 노동자들이 임시직 및 계약직 노동자에게 정규직 노동자보다 현저히 적은 임금을 지급하는 것은 임금 차별이라며 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법원은 동일 노동 동일 임금을 인정했습니다.
1997
홍콩: 반환 당시의 노동: 홍콩노동조합총연맹 (HKCTU) 의 의원이자 사무총장인 리척얀은 반환 직전에 통과된 직원의 대표권, 협의권, 단체교섭권에 관한 법안을 발의했지만 반환 직후 폐지되었습니다.
한국: 국제통화기금(IMF)과 위기 및 구조조정: IMF 정책에 따른 가혹한 긴축 정책과 대량 해고로 인해 불안정한 고용이 가속화되었고, 구조조정에 대한 저항의 물결이 일었습니다.
1999
대만: 자본 도피와 민영화: 1990년대 임금 상승으로 제조업체들이 해외로 이전하면서 대만 내 공장들이 폐쇄되었습니다. 노동자들은 농성, 철도 봉쇄, 시위 등으로 저항했습니다. 1999년에는 국유기업인 대만기계 노동자들이 민영화에 항의하며 국유기업의 대량 해고를 지적했습니다.
중국: 광산 노동자들이 민영화에 항의: 국영 부문 민영화와 해고가 진행되는 가운데, 쓰촨성에서 1만 명의 석탄 광부들이 실업 수당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철도 노선을 봉쇄했습니다.
2000
일본: 석면으로 인한 건강 위험 해결을 위한 노력: 노동조합, 특히 도쿄 직업 안전 보건 센터와 같이 건설 노동자를 대표하는 노동조합은 석면 노출과 관련된 근로자 보상 청구를 제기하는 캠페인을 주도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일본: 제2차 노동자 자주관리 운동: 거품경제 붕괴 후 부활한 이 운동은 생존 전략으로 자체 재건 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강조했습니다.
2002
대만: 화이트칼라 노조 결성: 전국산업노조연맹(전국산업노조연맹)이 설립되었으나 정치적 공모로 인해 빠르게 영향력을 잃었습니다. 2002년에는 10만 명이 넘는 교사들이 노조 결성권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으며, 이는 대만 최대 규모의 노동 집회였습니다.
2003
중국: 강제 이주 제도 폐지: 쑨즈강은 농촌 이주 노동자들이 도시에서 거주하고 일하는 데 필요한 임시 거주 허가증을 소지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구금되어 구타당해 사망했습니다. 이후 구금 및 송환 제도는 폐지되었습니다.
한국: 자살 시위의 물결: 여러 노조 지도자들이 해고, 부채 청구, 탄압에 항의하며 사망하면서 신자유주의적 구조 조정의 잔혹함이 드러났습니다.
한국: KTX 열차 승무원의 투쟁: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이 하청과 차별에 맞서 싸웠고, 이는 서비스 부문에서 장기 조직화를 촉발했습니다.
2005
홍콩: 홍콩에서 열린 WTO 회의에 반대하는 시위: 수천 명의 한국인 노동자, 학생, 농부를 포함한 시위대가 홍콩에 모여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부정적 결과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습니다.
2007
홍콩: 바 벤딩 노동자 파업: 1,000명의 바 벤딩 노동자가 36일간의 파업을 벌이며 임금 인상과 근무 시간 단축을 요구하며 자신의 권리를 요구했습니다.
한국: 이랜드/ 뉴코어 비정규직 파업: 여성 서비스 노동자들이 비정규직법에 따른 대량 해고에 항의하며 백화점을 점거하면서 불안정성에 대한 국가적 논쟁이 불거졌습니다.
2008
일본: 하켄무라 (“파견촌”): 세계 경기 침체 여파로 제조업에서 수많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해고되었습니다. 노동조합, 변호사, 시민단체들이 힘을 합쳐 발이 묶인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도쿄 히비야 공원 후생노동성 앞에 “파견촌”을 설치했습니다. 이들은 천막을 치고, 식사를 제공하고, 노동 상담을 제공했습니다.
2009
한국: 쌍용 자동차 공장 점거 파업: 노동자들이 대량 해고에 반대하여 평택 공장을 77일간 점거했다. 잔혹한 경찰 탄압과 그에 따른 노동자들의 자살은 신자유주의의 파괴를 상징했다.
중국: 직장에서의 부상이 만연하다. 중국인 노동자 장하 이차오는 직장에서 폐렴에 걸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가슴을 뜯어냈다.
2010
일본: 일본항공(JAL) 파산으로 연말 1만 6천 명의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이는 JAL 투쟁의 촉발점이 되었고, 노동자들은 대량 해고에 맞서 조직적으로 투쟁했습니다. 아직 복직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노동자들은 복직과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위해 계속 투쟁하고 있습니다.
2010
일본: 기능실습 프로그램의 문제점: 기능실습 비자로 일본에 온 외국인 노동자들은 불법적인 저임금, 강제 장시간 노동, 성폭행을 포함한 폭력, 여권 압수 등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노조와 노동자들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조직을 구성하여 다국어로 지원을 제공하고, 재판을 주선하며,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해 왔습니다.
중국: 혼다 노동자 파업과 폭스콘 자살: 광저우 혼다 노동자들이 19일간 파업에 돌입했는데, 이는 파업 물결 속에서 중요한 순간이었습니다. 선전 폭스콘 공장에서는 12명의 노동자가 자살했고, 주강 삼각주 지역 자동차 산업에서는 파업 물결이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 이주 노동자들의 불만과 투쟁심이 고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11
한국: HJ조선 무해고 ‘희망버스’ 운동: 여성노동자 김진숙 씨가 1년 가까이 조선소 크레인 위에서 농성을 벌인 사건으로, 김진숙 씨의 크레인 농성 이후 대규모 연대 운동이 전개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연대와 대중운동이 생겨났다.
2011
대만: 교사 노조 설립: 법적 개혁으로 교사들이 노조를 결성할 수 있게 되었고, 전국교사노조연맹이 창설되었습니다.
2012년
일본: 정규직 5년제: 노동계약법 개정으로 5년 이상 기간제 근로자가 희망 시 무기계약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노동부의 지침에 따르면 근로 조건은 “변경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2013
한국: “괜찮으세요?” 캠페인: 철도 민영화 반대 시위에서 촉발된 학생 대자보 운동은 청년층의 불안정한 삶을 노동 투쟁과 연결하여 세대 간 연대를 강조했습니다. 이 대자보 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어 학교, 직장 등 다양한 장소에 대자보를 게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철도 노조 파업에 대한 전국적인 지지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1996년 총파업 이후 전례 없는 현상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홍콩: 항만 노동자 파업: 홍콩 항만 노동자 500명이 40일간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1960년대 이후 홍콩에서 가장 큰 파업으로, 홍콩과 국제 노조로부터 전례 없는 지지를 얻었습니다.
2014
중국: 웨위엔 파업: 웨위엔 신발 공장의 노동자 43,000명이 중국 역사상 단일 기업에서 가장 큰 파업을 벌였으며, 이는 2010년대 초 진주강 삼각주에서 일어난 이주 노동자들의 투쟁의 정점을 기록했습니다.
과로사 예방 대책 추진법이 제정되었습니다. 과로사 유족회(Karōshi Families’ Association)를 비롯한 유족과 활동가들은 장시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로 인한 사망에 대해 오랫동안 항의해 왔으며, 정부가 장시간 노동과 과로사 의 연관성을 인정 하고 예방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촉구해 왔습니다. 과로사 예방을 위한 ‘과로사 예방의 달’도 제정되었습니다.
2015
일본: 최저임금 인상을 위한 투쟁: 구조적 빈곤의 역할을 부각하며, 미국 노동자들은 패스트푸드 대기업 맥도날드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조율된 시위와 파업이 벌어졌고, 그 결과 미국에서는 여러 주에서 최저임금이 인상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노조들이 일반적인 노조 조직을 넘어 최저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힘을 합쳤습니다.
중국: 노동 NGO 탄압: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노동 활동가와 노동자들의 집단 조직을 지원하는 NGO는 중국 당국으로부터 강화된 탄압을 받았습니다.
2016
대만: 중화항공 승무원 파업: 중화항공 승무원 1,700명이 대만 최초의 항공사 파업을 시작했습니다.
중국: 월마트 근로자 파업: 여러 도시의 월마트 근로자들이 근로자의 근무 시간을 예측할 수 없게 만드는 유연한 근무 시간 시스템인 “종합 근무 시간 시스템”에 항의하며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2017
한국: 비정규직 및 공공 부문 근로자의 투쟁: 요금 징수원, 택배 배달원, 삼성 서비스 근로자들은 하청 및 안전하지 않은 작업에 맞서 싸웠으며, 이로 인해 노동 문제가 전국적인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한국: 파리바게트 제빵 노동자들의 투쟁: 제빵 노동자들은 불법 하도급을 폭로하고 5천 명 이상의 제빵사를 직접 고용하라는 정부 명령을 받아냈습니다. 그러나 SPC는 부당이득반환금지법과 노조 파괴를 통해 이를 회피했습니다. 이 투쟁은 조직적인 탄압, 산업재해, 그리고 노조 파괴 관행에 대한 지속적인 저항을 드러냈습니다.
2018
일본: 일본의 #MeToo 운동: 글로벌 #MeToo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미디어 및 기타 산업 분야의 많은 여성들이 침묵을 깨고 일본에서의 직장 성희롱과 성폭력을 폭로했습니다.
일본: 근무 방식 개혁법 제정: 초과 근무에 대한 법적 제한을 도입하고, 유급 휴가를 의무화했으며, “동일 노동에 대한 동일 임금” 원칙을 제도화했습니다.
중국: 물류 노동자 파업: 트럭 운전사와 크레인 운전사들이 전국적으로 파업을 시작했습니다.
2019
대만: 에바항공 승무원 파업: 중국항공 조종사 700명 이상과 에바항공 승무원 2,000명이 대규모 파업을 벌여 더 나은 노동 조건을 쟁취했습니다.
한국: 톨게이트 요금 징수원 투쟁: 대부분 여성인 수천 명의 톨게이트 근로자들이 “정규직”이라는 명목으로 하청업체로 전환되는 것에 저항했습니다. 대량 해고와 농성 이후, 대법원은 이를 불법 파견으로 판결하여 1,500명 이상의 근로자를 직접 고용하도록 강요했습니다.
2020
팬데믹 기간 동안의 노동:
일본: 팬데믹은 접객업과 외식업 등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많은 기업이 도산하거나 직원을 감원하면서 실업률이 증가했습니다.
한국: 의료, 간병, 배달 종사자들은 과로와 안전하지 못한 환경에 맞서 싸웠으며, 이를 통해 한국에서 “필수 근로자”라는 개념이 대중화되었습니다.
홍콩: 병원청 직원 연합(HAEA)이 COVID-19 확산을 막기 위한 국경 폐쇄와 팬데믹 대응에 대한 정부 간 대화를 요구하며 5일간의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2021
에 맞선 라이더들의 투쟁 : 배달 앱 라이더들은 불투명한 AI 기반 배차 및 지급 시스템으로 인해 안전하지 못한 속도와 과도한 노동이 초래되는 것에 항의하는 시위를 조직했습니다. 이들의 행동은 알고리즘 통제가 새로운 형태의 노동 착취임을 폭로했고, 산재보험과 같은 사회 보장 제도의 부분적인 적용을 획득했습니다.
홍콩: 노동조합 탄압: 홍콩 전문교사협회와 홍콩 노동조합총연맹은 정치적 탄압 속에서 해체되었습니다.
일본: 여성 상담 행사: 팬데믹으로 인한 어려움에 대응하여 노동조합, 시민사회단체, 변호사, 그리고 개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여성들이 여성들이 부담 없이 참여하기 쉽고 접근하기 쉬운 여성 전용 상담 세션을 기획하고 진행했습니다. 기존의 상담과는 차별화된 이 행사는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홍콩: 플랫폼 노동자 파업: 푸드판다 배달 노동자 300명이 부당한 처우에 항의하며 파업을 벌여, 백화점 쇼핑 플랫폼인 판다마트의 운영을 마비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2022
한국: 화물 운송업자들의 안전 운임 제도를 위한 총파업: 최저 운임률을 지키기 위해 특수 계약 운전자들이 파업을 벌이며, 위험한 과로와 정부의 규제 완화에 항의하고 있습니다.
한국: DSME 하청업체 파업: 하청 조선소 노동자들의 51일간의 파업은 원청업체와 하청업체 간의 구조적 불평등을 드러냈으며, 윤 정권 들어 첫 번째 주요 노사 갈등으로 이어졌습니다.
중국: 폭스콘 탈출: 광저우 의류 산업 노동자들과 정저우 폭스콘 공장 노동자들이 집단 탈출을 조직하고 폭동을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코로나19 제로” 정책이 점점 더 지속 불가능해짐에 따라 당-국가와 자본주의가 적절한 노동 및 생활 환경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음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2023
한국: 양회동의 분신 자살: 건설 노조 지도자가 정부 탄압에 항의하다 사망한 사건은 윤 정권 하에서 국가가 자행한 반노동 운동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중국: 플랫폼 노동자 파업: 산웨이 의 음식 배달 노동자 약 800명이 일주일간 파업을 벌였습니다. 이는 플랫폼 경제 부문에서 노동 조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일본: 여성 노동절 전야 기념 행사: 2021년 OECD 조사에 따르면 33개국 중 일본 여성(소위 전업주부 포함)의 수면 시간이 가장 짧았습니다. 8시간의 수면, 여가, 휴식을 보장받지 못한다면, 이는 1886년 노동절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합니다.
2024
탄핵 운동에 참여한 노동조합 : 한국 노동조합은 윤석열의 권위주의적 노동 탄압에 맞선 전국적인 시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총파업, 건설 및 하청 노동자들과의 연대, 그리고 시민단체와의 연대를 통해 노조는 윤석열 탄압을 민주주의와 노동자 권리에 대한 공격으로 규정했고, 직장 투쟁을 정권 교체를 위한 광범위한 정치 운동으로 전환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025
홍콩: 파업의 물결: 중국 거대 기술 기업 메이투안(Meituan)의 해외 자회사인 키타(Keeta) 소속 라이더 400 명이 임금 인상과 안전 강화를 요구하는 일련의 파업을 조직하고 참여했습니다. 홍콩 침례대학교 청소 직원들은 교내 시위 이후 월 500홍콩달러(미화 64.1달러)의 보조금을 확보했습니다. 스와이어 음료(Swire Beverages, 홍콩) 노조는 트럭 운전사의 부당 해고에 항의하기 위해 공장 밖에서 파업을 조직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