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el 32

1940年代末50年代初:由下而上推進社會主義

儘管傳統敘事常常將共產黨戰勝國民黨歸功於其對農民的動員,但城市工人在1940年代末發揮了決定內戰命運的關鍵作用。一方面,當共產黨在1947年和1948年接管中國東北——當時中國一些最具戰略意義的工業工廠所在地——時,許多工廠處於一片廢墟之中。為了恢復生產,黨的幹部不得不依靠工人的自我領導、自主協調和自發組織的民兵來確保物資和設備供應,搭建臨時車間,改善生產規程,並防範破壞活動。這些復甦的工廠成為了黨的經濟血脈。

同時,在南方仍處於國民黨控制下的城市,工人們的戰鬥精神日益高漲。大規模罷工加劇了國民黨政權的經濟困境和合法性危機。其中最顯著的例子莫過於上海申新九號棉紡廠的罷工。 1948年初,六千名女工舉行罷工,要求分配米煤配給,並執行帶薪產假的規定。儘管工人內部因地域差異而產生分歧,並受到男工的騷擾,罷工工人仍然佔領了工廠四天,並與試圖阻止罷工的警察進行了暴力鬥爭。這次罷工引發了全市廣泛的聲援,包括上海舞女組織的成員,她們自己也參與了抗議運動。

1949年國民黨政權的垮台和中華人民共和國的成立,對許多工人來說是一個解放的時刻,這並不是因為共產黨立即改善了工人的生活,而是因為新政權承諾了一種希望和自我賦權的感覺。工人們鼓起勇氣,提出了一些先前被認為過於雄心勃勃的要求,例如加薪、起訴虐待工人的老闆以及參與工廠治理。這些行動主義往往與共產黨的議程相悖,共產黨的議程旨在專注於經濟復甦,並推動私人資本家和勞工之間的階級妥協。毛澤東在1949年曾作出著名指示,指出工人的薪資要求不應輕易滿足。同時,迫於工人的不滿,黨於1951年發起了民主改革運動,旨在將工人參與工廠管理的機制制度化。

1952年,黨發起了「五反」運動,旨在動員工人批評那些不完全遵守黨的政策的腐敗資本家。然而,這場運動為工人重新燃起鬥爭熱情提供了一個窗口,而這種熱情很快就發展成了黨未曾預料到的局面。有些工人的不滿並非指向私人資本家,而是指向黨和國家,他們認為「新社會」並不比舊社會好。另一些人則對黨的階級妥協議程提出質疑,認為利潤本身就是一種腐敗,所有私人企業都應立即社會化。上海市黨的領導層報告稱,工人行動的規模和強度已經失控,街頭抗議、罷工和怠工導致許多工廠完全癱瘓。 「五反」運動期間的工人激進主義不僅迫使私人企業的社會主義國有化成為黨的首要任務,而且極大地震懾了私人資本家,使這種國有化成為可能。在某種程度上,1953年至1956年,中國各地迅速推進了私營企業社會化進程,而僅僅在幾年前,黨還認為這還是不可想像的。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 아래로부터 사회주의를 전진시키다

통상적인 이야기들은 공산당이 국민당에 승리한 이유를 농민 동원에 돌리는 경우가 많지만, 도시 노동자들은 1940년대 후반 국공 내전의 운명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한편, 1947년과 1948년, 공산당이 중국에서 가장 전략적인 산업 공장들이 위치한 중국 북동부 지역을 장악했을 때, 많은 공장들이 황폐해졌습니다. 생산을 재개하기 위해 당 간부들은 노동자들의 자치, 자율적 조정, 그리고 자치적으로 조직된 민병대에 의존하여 물자와 장비를 확보하고, 임시 작업장을 짓고, 생산 절차를 즉석에서 만들고, 사보타주를 방지해야 했습니다. 이렇게 부활한 공장들은 당의 경제적 혈맥이 되었습니다.

동시에 여전히 국민당의 통제 하에 있던 남부 도시들의 노동자들은 점점 더 호전적으로 변했습니다. 대규모 파업은 국민당 정권의 경제적 어려움과 정통성 위기를 심화시켰습니다. 가장 중요한 사례 중 하나는 상하이 선신 9호 면화공장 파업이었습니다. 1948년 초, 6천 명의 여성 노동자들이 쌀과 석탄 배급, 유급 출산휴가 시행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노동자들의 출신 지역 차이와 남성 동료들의 괴롭힘에도 불구하고, 파업 노동자들은 나흘 동안 공장을 점거하고 파업을 방해하려는 경찰에 맞서 격렬한 투쟁을 벌였습니다. 이 파업은 상하이 전역에 걸쳐 광범위한 연대 활동을 촉발시켰는데, 그중에는 시위 운동에 참여했던 상하이 무용단원들도 있었습니다.

국민당 정권의 몰락과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은 많은 노동자들이 해방의 순간으로 경험했습니다. 공산주의자들이 노동자들의 삶을 즉각적으로 개선했기 때문이 아니라, 새로운 정권이 희망과 자립을 약속했기 때문입니다. 노동자들은 임금 인상, 부당한 처우를 하는 노조 사장들에 대한 처벌, 그리고 작업장 운영 참여 등 지금까지 지나치게 야심적이라고 여겨졌던 요구들을 내세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행동주의는 경제 회복에 집중하고 사적 자본가와 노동자 간의 계급적 타협을 강요하고자 했던 공산당의 의제와 종종 상충되었습니다. 마오쩌둥은 1949년 노동자들의 임금 요구가 쉽게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고 지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한편, 노동자들의 반발에 압력을 받은 공산당은 1951년 노동자들이 공장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민주 개혁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1952년, 공산당은 당 정책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 부패한 자본가들을 비판하기 위해 노동자들을 동원하기 위한 ‘5반(五反)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 운동은 노동자들의 새로운 투쟁을 위한 창구를 마련했고, 이는 곧 공산당이 예상치 못한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일부 노동자들은 사적 자본가가 아닌 당-국가에 불만을 표하며 “새로운 사회”가 옛 사회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른 노동자들은 당의 계급 타협 의제에 이의를 제기하며 이윤 자체가 부패의 한 형태이며 모든 사적 산업은 즉시 사회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상하이 당 지도부는 노동자들의 행동 규모와 강도가 통제 불능 상태라고 보고했습니다. 거리 시위, 파업, 그리고 많은 공장이 완전히 마비되는 조업 정지가 그 예입니다. 5반(五反) 운동 기간 동안 노동자들의 활동은 사적 산업의 사회주의적 국유화를 당의 당면 과제로 끌어올렸을 뿐만 아니라, 사적 자본가들을 매우 위협하여 그러한 국유화가 실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중국 전역에서 사적 기업의 사회화 과정이 급속도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당이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상도 할 수 없다고 여겼던 일이었습니다.

Tags: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