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el 13

香港九十年代及二十一世紀初的抗爭浪潮

香港職工會聯盟(勞工盟)積極協調工人罷工,並為其爭取支持。早期的例子包括1993年持續16天的國泰航空空服員罷工,以及1995年的外籍勞工罷工。勞工盟當時協助來自中國、泰國和尼泊爾的外籍勞工在新機場計畫上工作,組織罷工。

1997年,香港回歸前夕,時任職工盟秘書長兼立法會議員的李卓人以私人議員法案的形式提出了《僱員代表權、協商權及集體談判權條例草案》。這項開創性的法案獲得通過,但在香港特區政府上台後,該法案迅速被凍結,並被不民主的臨時立法會廢除。在廢除該法的投票中,包括香港工會聯合會成員在內的親北京立法會議員投下了背叛工人的選票。李卓人為此進行了120小時的絕食抗議,香港職工會也向國際勞工組織(ILO)提出申訴。儘管失去了法律保障框架,香港職工會仍繼續在基層進行集體談判抗爭,並在航空、公共交通、飲料和建築等行業中取得了重大突破。

1990年代末,香港工人受到亞洲金融危機的巨大衝擊。香港職員及其會員工會介入了不同的工業行動,並與其他團體聯手爭取最低工資立法。

2000年年中,香港經濟復甦,但工人權益卻鮮少。不同行業的工人紛紛罷工,要求提高工資,其中包括2007年的酒吧工人;2008年的維他奶、雀巢和屈臣氏員工;和碼頭工人(2013 年)。


1990년대와 2000년대 홍콩의 저항 물결

홍콩노총(HKCTU)은 노동자 파업을 조율하고 지지를 결집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초창기 사례로는 1993년 캐세이퍼시픽 항공 승무원 16일간의 파업과 1995년 이주 노동자 파업이 있습니다. 당시 HKCTU는 신공항 건설 프로젝트에서 일하는 중국, 태국, 네팔 출신 이주 노동자들이 파업을 조직하도록 지원했습니다.

1997년, 홍콩 반환 직전, 당시 HKCTU 사무총장이자 입법회 의원이었던 리척얀은 민간 의원 법안으로 ‘근로자의 대표권, 협의권, 단체교섭권’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이 획기적인 법안은 통과되었으나, 홍콩특별행정구 정부가 출범한 후 비민주적인 임시 입법회에 의해 빠르게 동결되었다가 폐지되었습니다. 법 폐지를 위한 투표 과정에서 홍콩노총(HKFTU) 회원을 포함한 친베이징 ​​성향의 의원들은 노동자들을 배신하는 투표를 했습니다. 이에 항의하여 리척얀(Lee Cheuk-yan)은 120시간 단식 투쟁을 벌였고, 홍콩노총은 국제노동기구(ILO)에 제소했습니다. 보호를 위한 법적 틀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홍콩노총은 단체 교섭을 위한 풀뿌리 투쟁을 계속하여 항공, 대중교통, 음료, 건설 등의 산업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1990년대 후반, 홍콩 노동자들은 아시아 금융 위기로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홍콩노총과 회원 노조는 다양한 산업 활동에 개입하고 다른 단체들과 힘을 합쳐 최저임금 법안 제정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2000년대 중반, 홍콩 경제는 회복되었지만, 노동자의 권리는 거의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바벤더(2007년)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의 노동자들이 더 나은 임금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Vitasoy, Nestles, Watson의 직원(2008년) 및 부두 노동자(2013년)

Tags:
Categories: